윈도우11 파일 탐색기를 윈도우10 형식으로 변경하는 방법

 

윈도우11의 윈도우 파일 탐색기는 한결 간결하고 심플한 방식으로 변경이 되었지만 이전 윈도우에서 간편하게 사용하던 리본 메뉴를 없애고 메뉴를 너무 간략화시킴으로 인해 접근성이 더 떨어져 사용하기 불편한 부분이 있습니다.




이전 윈도우10에서 사용하던 파일 탐색기 형식이 더 사용하기 편리하다면 레지스트리를 수정해 이전 형식의 파일 탐색기로 간단히 변경해 사용할 수가 있습니다.
(이 방법은 윈도우11 22H2 버전이하에서만 동작하므로 최신 버전의 윈도우11에서는 맨 하단에 제시한 제어판을 이용하는 방법을 사용해야 합니다.)


레지스트리를 직접 수정하는 방법과 레지스트리 수정 파일을 이용해 간단히 변경하는 방법 2가지 방법이 있습니다.


1. 레지스트리 수정 파일을 이용해 변경하기

레지스트리 수정이 귀찮은 분들은 아래에 첨부한 레지스트리 수정 파일을 다운로드해 실행해 준 다음 'ctrl + shift + esc' 키로 작업 관리자를 열어 'windows 탐색기'를 재시작해주면 바로 윈도우10 형식의 탐색기로 사용할 수가 있습니다.




기존 윈도우11 파일 탐색기로 복구하려면 아래의 레지스틀 수정 파일을 다운로드 후 실행한 다음 작업 관리자에서 'windows 탐색기'를 재시작해주면 됩니다.



2. 레지스트리 직접 수정해 변경하기

'windows + r' 키를 눌러 실행 창에 regedit 를 입력하고 엔터 칩니다.




레지스트리 편집기가 실행되면 
HKEY_LOCAL_MACHINE\SOFTWARE\Microsoft\Windows\CurrentVersion\Shell Extensions 경로로 이동한 다음 'Shell Extensions' 폴더에 마우스 오른쪽 클릭해 '새로 만들기'의 '키'를 선택합니다.




키 이름을 Blocked 로 입력합니다.




새로 생성한 Blocked 폴더에 마우스 오른쪽 클릭해 '새로 만들기'의 '문자열 값'을 선택합니다.




문자열 값 이름을 {e2bf9676-5f8f-435c-97eb-11607a5bedf7} 으로 입력합니다.




레지스트리 편집기를 종료하고 'ctrl + shift +esc' 키를 눌러 작업 관리자를 연 다음 '프로세스' 탭에서 'windows 탐색기'를 찾아 마우스 오른쪽 클릭해 '다시 시작'을 선택합니다.




화면이 잠시 깜빡이고 windows 탐색기가 재시작 되면 윈도우 파일 탐색기가 윈도우10 형식으로 실행됩니다.




다시 윈도우11 형식의 기본 탐색기로 복구하고 싶은 경우에는 레지스트리 편집기에서 새로 생성한 Blocked 폴더를 삭제한 다음 작업 관리자에서 windows 탐색기를 재시작시켜주면 됩니다.





3. 제어판을 이용해 파일 탐색기를 사용하는 방법

최신 버전의 윈도우11에서는 레지스트리 수정을 통한 방법이 적용되지 않으므로 제어판을 이용하는 방법을 사용해야 합니다.

제어판을 연 다음 주소 표시줄에 c: 를 입력하고 엔터 칩니다. 




제어판이 이전 윈도우10 형식의 탐색기로 실행됩니다.




이 창으로 파일 탐색기를 사용 중일 경우에는 항상 윈도우10 형식으로 표시되지만 창을 닫은 뒤 파일 탐색기를 다시 실행할 경우에는 윈도우11 형식의 파일 탐색기가 실행됩니다.


윈도우11 파일 탐색기를 윈도우10 형식으로 변경하는 방법 윈도우11 파일 탐색기를 윈도우10 형식으로 변경하는 방법 Reviewed by opc 스토리 on 1월 14, 2023 Rating: 5

댓글 없음:

Powered by Blogger.